×

수강후기&합격수기

  • 제 목
  • [정규수강생] ★BEST★ 2024년 1회 일반기계기사 합격수기
  • 작성자
  • 박성빈12
  • 등록날짜
  • 2024-06-21 16:30:20 / 조회수 : 310
  • 20241회 일반기계기사 합격수기

     

    이번 일반기계기사 1회차에 높은점수로 합격을 한건 아니지만 준비과정과 느꼈던 점에 대해서 같이 적으면서 합격수기를 작성하려고 합니다.
      
    먼저 1회차 작업형을 준비하면서 도움이 많이 되었던 DC 스텝분들에게 감사하다고 전하고 싶습니다.

    정보 및 준비기간

    - 전공 : 기계공학

    - 준비기간

    필기 : 1

    필답 : 2

    실기 : 2

    #1. 필기

    - 2024년도를 기준으로 필기가 개편이 되어서 처음에는 준비가 막막했었는데 일단 부딪히면서 공부를 하자는 생각으로 준비하였고 제가 준비했던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X복 연습문제 및 예상기출문제

    X사 기출문제

    과년도 기출문제 10개년

    1) 일반기계기사

    2) 기계설계기사 3과목 기계설계 및 기계재료

    3) 기계설계산업기사 2과목 기계제도

    ▷ 준비하면서 문제점과 해결책

    ① 2024년도 일반기계기사 개편

     - 필기 1과목에 기계설계와 기계제도가 들어오면서 정보가 많이 부족했고 다른 시험에 있는 기계설계와 기계제도 문제는 다 풀면서 1과목 과락을 면한다는 마인드로 공부했습니다.   
      
    기계설계와 기계제도가 추가되었을 때 필기에서는 공부양이 늘어났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기때 빛을 발휘하는 공부가 될 수 있습니다.

    4대 역학 부분은 학부과정에서 개념정리와 이해를 하면서 공부를 해놓은 덕분에 시간을 다른데 투자를 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4대 역학은 따로 자신만의 노트에 정리해놓으면
      다음에도 참고할 수 있으니 정리를 하는 것을 추천하고 싶습니다
    !

    - 기계제작법, 유압기기 등 암기파트 쪽은 구매한 책의 연습문제로 눈에 들어오게끔 예열을 시키면서 기출문제에 들어갔던 것 같습니다. 기출문제에 들어갈 때 틀리는 문제를 기준
      으로 파트를 나눠서 정리하여 외웠고 그 정리했던 파트들이 모이면 책에 정리되어있는 요약본과 같이 완성될 것입니다
    암기파트 정리가 쉽지는 않지만 한 번 정리하는 것과 정리를
      하지않는 것은 큰 차이가 있다고 생각해서 정리를 통해 공부를 했습니다
    .

    #2. 실기-필답형

    - 신청하기 이전에는 몰랐는데 공단에서 실기시험의 날짜가 정해져 있지만 실기시험이 끝나는 날짜를 보는 것이 아닌 실기시험이 시작하는 날짜가 시험이라 생각하고 준비를 하는걸
      추천하고 싶습니다
    . (실기시험 날짜나오고 첫 주 주말 토요일부터 시작인 거 보고 살짝 멘붕이 왔습니다...) 

    필기 1과목의 기계설계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는 시점이었습니다. 여기서 제일 중요한 거는 문제를 봤을 때 주어진 글에 대해서 공식이 떠오르냐에 따라 필답형 점수가 나뉘는 것
      같습니다
    .

    준비방법

    - X복 필답형 책의 과년도 기출문제를 이용해서 준비를 했습니다. 먼저 책에는 문제와 문제풀이가 동시에 나오는 형태입니다. 시간 문제로 2회독을 하였고 1회독에서는 A4로 답을
      가리고 문제를 푸는 형식으로 진행하였고
    2회독은 그 문제만 사진을 찍어 편집을 통해서 회차별로 모아서 문제만 있는 형식으로 바꾸어 시험과 비슷한 형식으로 문제를 풀었습니다.

    - 문제풀이를 하면서 분명 모르는 이론도 있을 것이고 아는 이론도 있을 거지만 문제풀이를 하면서 챕터별로 이론을 정리해놓고 틀릴때마다 공식을 머리에 저장하여 암기하는 방법
      을 사용했습니다
    .

     

     

    #3. 실기-작업형

    준비방법(Invertor 2D & 3D 이용)

    인벤터 기초강의 & 도면 템플릿 만들기

    도면해독 기초

    1회독 : 동영상을 보면서 3D 모델링 해보고 2D 도면작업까지 진행

       2회독 : 동영상을 보지않고 3D 모델링 진행 => 2D 도면작업 => 도면검도 진행

       ( 중간중간 KS규격 강의 듣기 )

    시험 2~3일 전 기초 설정 및 템플릿 만들기

    시험 진행

    - 준비방법에는 2회독이라고 적혀있지만 사실상 1.5회독이라고 보셔도 될 것 같습니다. 학부생이라 졸업작품과 중간고사를 병행해서 시간이 진짜 많이 부족했었습니다.
      
    그래서 1회독은 정상적으로 진행하였고 2회독에서 3D 모델링을 위주로 했습니다. 이유는 3D 모델링이 완성이 되지 않으면 2D 도면 작업도 진행이 안된다고 판단해서 3D 모델링
      만큼은 완성해야 한다고 생각했고 모델링에 더 집중했습니다
    . 그래도 2D 도면작업은 틈나는 시간마다 강의를 시청하면서 부품에 따라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정리해나가면서 준비했
      습니다
    .

    도면검도

    - 실기 작업형을 준비하면서 강의도 도움을 많이 받았지만 도면검도가 저에게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1회독을 진행하고 강의를 보지않고 모델링을 하여 도면을 검토받았을 때 제가
      어느 부분이 부족하고 어떤 것을 빼놓았는지를 한 번 확인하는 시간을 가지고 다시 도면작업을 했을 때 더 세세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습니다
    .

    시험

     - 작업형 3일차에 응시하였고 치공구 1, 동력전달장치 1개가 나왔습니다. 처음 문제지를 받자마자 뇌가 정지되었습니다그 이유는 한 번도 보지 못한 치공구였고
       구동원리도 모르는 터라 막막했고 초반 설정과
    3D 작업에서 많은 고난을 겪었습니다.

    1) 기본적인 단축키 설정, 도면 템플릿 설정을 하는데 과제명 넣는 곳의 치수를 130으로 연습했었는데 제 기억 상으로는 시험문제에서 다른 치수로 나온 거 같았고 당황을 해서 그
      치수를 올바르게 맞추느라 시간을 많이 잡아먹어 단축키 설정과 도면 템플릿 설정에서만
    40분을 소요했었습니다.

    2) 동력전달장치를 모델링할 때 1, 2일차에 V-벨트풀리가 안나와서 전날에 신나게 V-벨트풀리가 나올거 같다고 생각하고 많이 그리고 갔었고 시험장에서 V-벨트풀
       리를 만나서 기분이 좋았는지 번호를 확인했는데도
    V-벨트풀리를 그리고 완성하고난 뒤에 다른 부품을 그려야 하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때 서야 빠르게 지우고 그 부품들을 작업을
      했습니다
    .
    => 이렇게 초기 설정과 3D 모델링에서 많은 시간을 날리고 시작하였고 당황도 했지만 포기하지 않고 계속해서 5시간을 꽉 채워서 완성을 진행했습니다.
         
    모델링을 하실 때 저처럼 잘못그려도 시간은 충분히 있으니 포기하지말고 진행을 하면 좋겠다는 바람에 이러한 멘트도 작성했습니다.

     

    작업형 느낀점

    - 제가 생각하는 작업형에서 제일 중요한 것은 투상이라고 생각합니다. 시간이 부족해서 2D 도면작업을 많이는 안했었지만 잠들기 전에 예제를 보면서 눈투상과 구동영상을 보면서 
      최대한 투상능력을 끌어올리려고 했습니다
    . 덕분에 처음 보는 리밍지그를 봤을 때도 어떻게 구동이 될까를 생각하면서 그렸고 정말 시간이 부족해도 투상은 포기하지 않으셨으면
      합니다
    .

    - 시험이 개편되면서 2개의 도면을 보고 부품을 그리는 형식이어서 치공구, 동력전달장치를 모두 봐야하는 상황이었는데 초반에는 예제 10개만 준비해서 시험을 치자고 생각을 했는
      데 너무 운에 맡기는 시험이라고 생각이 들었고 그때부터 나머지 예제들에 대해서
    3D 모델링만이라도 혼자 진행해보고 2D 도면작업은 앞 예제와 중복되는 부품은 제외하고 겹치지
      않는 부품에 대해서
    2D 도면작업을 하는 식으로 했었습니다. 성적이 높지는 않았지만 시간이 조금 더 있었다면 완벽하게 준비해서 고득점을 노리고 싶은 마음도 들었네요.

    - 번외이지만 학과 수업을 들었을 때 설계에 대해서 항상 자신감이 없었고 2D 도면을 보고 3D 모델링을 할 때 어려움을 많이 겪었습니다. 하지만 기사를 준비하고 강사님들의 강의를
      들으면서 모델링의 방법과 노하우를 얻으면서 설계에 대해서 전체는 아니더라도 조금이나마 실력을 늘리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
    . 또한 어셈블리를 이용해서 구동까지 구현하
      는 것을 못해봐서 아쉽지만 시간이 된다면 정규강좌 포트폴리오도 수강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설계에 대한 자신감을 넣어주고 흥미를 갖게 해주셔서 감사했습니다.

댓글 1
  • 김정석 작성시간 2024-09-23 15:47:37
  • 합격 축하드립니다. ^^

자격증의모든것DC는 고객이 선택한
1위 전문 교육 기관입니다.

자격증의모든것DC 대표 : 노영민 | 주소 :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로22번길 9 2층 | 개인정보보호 책임자 : 이윤영

사업자등록번호:367-04-00390 ㅣ통신판매업신고번호:제2016-부산사하-2050ㅣ원격평생교육시설 신고번호 : 서부교육지원청 제 47호

마케팅/제휴문의:dc601@naver.com ㅣ카카오톡 플러스 친구:자격증의모든것DC | Copyrightⓒ 2016 DesignCenter All rights Reserved.